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아파치
- 인스타그램
- config
- template
- graph api
- 워드프레스
- elasticsrach template
- 설정 파일
- 맵핑
- mapping
- memcache
- wordpress feed
- 아파치 프록시
- 워드프레스 rss
- 엘라스틱서치
- Elasticsearch
- htaccess
- 워드프레스 피드
- memcached
- wordpress function
- Wordpress
- Kibana
- Apache
- wordpress rss
- 크롤링
- htpasswd
- 프록시
- Today
- Total
EunsooD
새로 서버 세팅하면서 소스 설치 말고 yum으로 해봤다. ////////우선 memecached 데몬 설치////////// yum memcached install 데몬은 간단하게 설치 완료테스트 memcached -d -u webmaster -m 256 127.0.0.1 -p 11211 -vv » /var/memcached 2>&1우선 데몬을 띄우고 telnet localhost 11211 (telnet 이 없으면 yum install telnet)• Telnet 상태에서 • set mykey 0 100 2 • hi o STORED • get mykey o VALUE mykey 0 2 o hi o END • Ctrl + ] ////////////////////////////////////////////..
현재 상태를 확인해보자. $ apachectl -l Compiled in modules: core.c prefork.c http_core.c mod_so.c ------------------------- // worker 형식으로 변경 # vi /etc/sysconfig/httpd -------------------------- #HTTPD=/usr/sbin/httpd.worker // 주석제거후 아파치 재가동 -------------------------- // 확인하기 # apachectl -l --------------------------- Compiled in modules: core.c worker.c http_core.c mod_so.c --------------------------- //..
같은 파일이 여러곳에 흩어져 있어서 한 곳에 몰아 넣고 심볼릭 링크로 해결하려고 했는데, 잘 안되더라... 그래서 구글링한 결과apache나 톰캣 등에서도 설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ㅂㄷㅂㄷ 출처 : http://newbread.tistory.com/11 리눅스 환경에서 심볼릭링크를 웹서버에서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세팅해주어야 함. Apache - httpd.conf 아래 내용 추가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Tomcat 및 기타 미들웨어 - server.xml (context.xml) 아래 내용 추가
리눅스 하위에 텍스트를 찾기 위한 명령어 grep-rw "text" ./ 라고 쳐주면 해당폴더에서 하위에 있는 전체에 대해 검색한다.
groupadd -g [그룹번호] [그룹이름]ex) groupadd -g 10011 doFamily useradd -g [그룹이름] -d /home/[아이디] -m -s /bin/bash [아이디]ex) useradd -g doFamily -d /home/eunsoo -m -s /bin/bash eunsoo 패스워드 설정 passwd eunsoo 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끝
nohup : 로그아웃 하여 터미널을 빠져나가도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고 계속 수행될수 있게 하는 명령 프로그램을 데몬처럼 실행하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 명령어 & " 여기서 '&'는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실행한 사용자가 로그아웃하면 프로그램도 함께 종료됩니다. 이럴때는 nohup 이란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nohup(노헙) 정의 리눅스, 유닉스에서 쉘스크립트파일(*.sh)을 데몬형태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nohup 주의사항 nohup으로 실행할 쉘스크립트파일(*.sh)은 현재 퍼미션이 755이상 상태여야 한다. chmod 755 shell.sh nohup 실행방법 nohup shell.sh & 또는 nohup sh -- ./sh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