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크롤링
- template
- Elasticsearch
- wordpress function
- 인스타그램
- 워드프레스
- memcached
- 맵핑
- 설정 파일
- Kibana
- wordpress rss
- 프록시
- 아파치 프록시
- memcache
- mapping
- config
- htaccess
- 워드프레스 rss
- htpasswd
- elasticsrach template
- wordpress feed
- graph api
- Wordpress
- 아파치
- 워드프레스 피드
- Apache
- 엘라스틱서치
- Today
- Total
EunsooD
http://www.java-school.net/jsp/Servlet.phphttp://dkatlf900.tistory.com/68이것도 포함 방문하면 제법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하지만 정리가 안된다는거는 함정.)
- Eclipse 자주 쓰는 단축키 - ----- 실행 -----Ctrl + F11 : 바로 전에 실행했던 클래스 실행 ----- 소스 네비게이션 -----Ctrl + 마우스커서(혹은 F3) : 클래스나 메소드 혹은 멤버를 상세하게 검색하고자 할때Alt + Left, Alt + Right : 이후, 이전Ctrl + O : 해당 소스의 메소드 리스트를 확인하려 할때F4 : 클래스명을 선택하고 누르면 해당 클래스의 Hierarchy 를 볼 수 있다. Alt + ) : 이전(다음) 작업 화면 ----- 문자열 찾기 -----Ctrl + K :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블럭으로 설정한 후 키를 누른다.Ctrl + Shift + K : 역으로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찾아감.Ctrl + J : 입력하면서 찾을 수 있음...
예외처리 사용자 정의 예외,자바는 프로그램 실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처리문을 제공한다. 자바의 예외 처리는 예외가 발생한 매서드 내에서 직접 처리하는 방법과 예외가 발생한 매소드를 호출한 곳으로 예외 객체를 넘겨 주는 방법, 그리고 사용자 정의 예외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1. 예외(Exception)이 발생한 메소드 내에서 직접 처리(try-catch-finally) try{ 예외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장들; }catch(예외 타입1 매개변수명){ 예외타입1의 예외가 발생할 경우 처리 문장들; }catch(예외 타입 n 매개변수명){ 예외타입 n의 예외가 발생할 경우 처리 문장들; }finally{ 항상 수행할 필요가 있는 문장들; } try 블록은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
초기에 이클립스 버전 3.*를 세팅했었는데, 라이브러리 불러오는 작업 등 여러가지로 불편해서 4.* 대 버전을 세팅하고 SVN을 세팅하였다. 1. 이클립스 다운로드https://www.eclipse.org/downloads/ 버전에 맞는 것을 다운로드 이후 압축 해제바로 실행하면 되는데, 윈도우라고 생각하면 안되므로, 다른 세팅을 더 해줘야 한다. 2. 실행 스크립트 만들기이클립스는 실행 스크립트를 만들어 줍니다. 만약 실행시 설정이 필요하다면 쉘 스크립트 파일을 수정해야 되므로 스크립트로 만들어 줍니다.$ sudo gedit /usr/bin/eclipsegedit 창이 열리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나는 vi편집기로 작성함 / 이클립스 위치가 /opt/eclipse 일 경우 --------------..
doPost() 메서드1. 전달 값이 Data Packet 부분에 넣어 전달되므로 노출이 되지 않아 보안성이 좋다. 2. Data 부분에 넣기 때문에 값의 크기에 제한이 없다.그래서 보통은 처리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doGet() 메서드1. 전달 값이 요청 URL에 노출되므로 보안에 취약하다. 2.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는 최대 240 Byte 이다.그래서 보통은 조회용으로 많이 사용을 한다.
root 권한으로 파일 생성하다 보면 소유자와 소유 그룹이 루트로 생성되버려서 곤란한다.그럴 경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쉽게 바꿀 수 있다. #chown 소유자명:소유그룹명 파일명 예를 들어서test라는 디렉토리를 eunsu라는 소유자와 그룹으로 변경하려면#chown eunsu:eunsu test라고 명령하면 된다. 문제는 위 예시처럼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폴더만 변경되고 하위 폴더나 파일들은 변경이 안된다..그래서 그 사이에 -R 이라는 명령어를 넣는다.#chown -R eunsu:eunsu test이렇게 하면 전체 권한이 변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