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wordpress feed
- htpasswd
- Wordpress
- 인스타그램
- 크롤링
- wordpress function
- Kibana
- wordpress rss
- elasticsrach template
- 설정 파일
- 아파치
- Apache
- 워드프레스
- template
- htaccess
- 아파치 프록시
- 엘라스틱서치
- memcached
- 워드프레스 피드
- graph api
- 맵핑
- mapping
- config
- memcache
- Elasticsearch
- 프록시
- 워드프레스 rss
- Today
- Total
EunsooD
ls -l | grep ^d | wc -l 이렇게 하면 폴더가 몇 개인지 ls -l | grep ^- | wc -l 이렇게 하면 파일이 몇 개인지 알 수 있다.
ALTER TABLE ADD INDEX ( 칼럼명1, 칼럼명2, ... ); ALTER TABLE outlook_dreamwiz_com ADD INDEX idx_user (user); ALTER TABLE outlook_dreamwiz_com ADD INDEX idx_domain (domain); ALTER TABLE outlook_dreamwiz_com ADD INDEX idx_state (state); 이 경우 B-tree 로 index가 생성된다 ㅋ
openssl 로 메일 접속시 https://www.openssl.org/docs/apps/s_client.htmlopenssl s_client -connect imap.naver.com:993 -quiet openssl s_client -connect imap.gmail.com:993 -crlfc
mysql> show variables like 'general_log%';+------------------+---------------------------------+| Variable_name | Value |+------------------+---------------------------------+| general_log | OFF || general_log_file | /var/lib/mysql/ubuntuserver.log |+------------------+---------------------------------+ # 로그 남기게 설정 (이후로 general_log_file에 실시간으로 기록됨)mysql> set GLOBAL general_log='ON'; # 로깅 해제mysql..
테이블이 이미 생성 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용이 수정되면 수정된 시간 내용이 나오도록 하는 명령어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LUMN '컬럼명'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 ON UPDATE CURRENT_TIMESTAMP first; 수정된 시간이 자동으로 입력되게 된다. (first는 컬럼 제일 처음에 넣겠다는 ..명령어)
리눅스에서 어떤 도메인을 참조하고 있는데, 그 서버를 알고 싶었다. nslookup 은 name server 관련한 조회를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서버의 네트워크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도 사용하는데 자주 쓰는 명령어가 아니다 보니 사용법을 잊어버려서 용도별 nslookup 명령을 정리해 본다. 구글의 ip 확인$ nslookup google.com DNS중 MX(Maill record) 확인$ nslookup -query=mx google.com NS 레코드로 DNS 목록 확인$ nslookup -type=ns google.com Reverse DNS lookup$ nslookup 209.132.183.181